생체정보 연동과 보관이 용이한
재활 보행 보조 로봇 개발
생체정보 연동과 보관이 용이한
재활 보행 보조 로봇 개발
2019년 11월 ~ 2020년 11월
◦
사용자의 심장박동수, 혈압 등 생체 정보와 보행 정보를 체크하여 로봇 워커의 모드를 자동 조절하는 시스템 구성함으로써 노약자나 재활 환자들이 재활 기기로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, 로봇 워커 다리를 관절 구조의 접이식 설계로 미사용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관이 용이한 형태로 제작하여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쉽게 재활 훈련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임
◦
사용자의 체중을 전달받도록 지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, 로봇 다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, 본체로 전달된 체중을 지면으로 전달하고 제어 모듈 명령에 따라 작동하는 로봇 다리로 구성됨
구분 | 본 개발기술 특징 |
---|---|
사용 장소 |
실내·외 장소에 대한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 |
사용 범위 |
재활, 보행연습, 걸음걸이의 편리함 등 사용자의 다양한 용도에 따라 사용 가능 |
보관 방법 |
다리 관절구조의 접이식 설계로, 미사용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관 용이 |
보행자 동행 필요성 |
보호자 동행 없이 사용 가능하며, 위급상황 발생 시 경고음 발생 |
제품 수명 |
모터 및 충전용 배터리 사용으로 해당 부품 변경을 통해 반영구적 사용 가능 |
성능 up-grade |
소프트웨어적 성능은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를 통해 새로운 기능 장착 가능 |
사용자 구분 |
보행이 어려운 사용자도 옵션 선택으로 사용자 신체 기능에 맞게 이용 가능 |
작동 방법 |
사용자의 동작을 인지한 모션센서를 통한 움직임 |
항목 | 계 획 | 달성도 (%) |
|
---|---|---|---|
개발 목표 |
생체정보 연동과 보관이 용이한 재활 보행보조 로봇 개발 | 100 | |
정량적 목표항목 및 달성도 |
동작인식 속도 | 390 s 이내 |
100 |
동작인식 정확성 | 15 cm 이내 |
100 | |
내구성 | 180 kgf/cm2 | 100 | |
로봇 워커 크기 (가로*세로*높이) |
58*55*84 cm |
100 | |
높낮이 조절 범위 | 10 cm 이상 |
100 | |
앱 V&V 시험 | 검증 | 100 | |
보행자 알고리즘 V&V 시험 |
검증 | 100 | |
항목 | 실 적 | 달성도 (%) |
|
개발 목표 |
생체정보 연동과 보관이 용이한 재활 보행보조 로봇 개발 | 100 | |
정량적 목표항목 및 달성도 |
58 | 100 | |
평균오차 0.3 cm 이하 | 100 | ||
2126.6 | 100 | ||
53.5*41.12*70 | 100 | ||
11.4 | 100 | ||
개발목표 만족 | 100 | ||
개발목표 만족 | 100 |
◦
지식재산권 : 4건(특허등록 1건, 특허출원 3건)
특허등록 : 제10-2142945호 보행보조장치
특허출원 : 특허-2020-0159001 보행 보조 장치 및 제어 방법
특허출원 : 특허-2020-0159002 높이 조절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
특허출원 : 특허-2020-0159003 접이식 보행 보조 장치
◦
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고령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산업이 주목받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으로 재활의학 분야에도 활발한 투자 및 기술 개발이 진행되면서 재활 시장의 성장이 기대됨
◦
병원, 재활병원, 요양병원에 계시는 보행이 불편한 분들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실내에서 보행 연습 시에도 이동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로봇 기술이 적용된 제품으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
◦
재활의학, 사회복지, 4차 산업
노약자, 장애인, 재활 치료 대상자 신체의 노화와 선천적 장애, 사고 등으로 저하된
인체 근골격 기능의 회복을 위한 기기입니다.
생체 정보 연동과 보관이 용이한 재활 보행 보조 로봇 개발
◦2019년 11월 ~ 2020년 11월
◦사용자의 심장박동수, 혈압 등 생체 정보와 보행 정보를 체크하여
로봇 워커의 모드를 자동 조절하는 시스템 구성함으로써 노약자나 재활
환자들이 재활 기기로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, 로봇 워커
다리를 관절 구조의 접이식 설계로 미사용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
보관이 용이한 형태로 제작하여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쉽게 재활 훈련을
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임
◦사용자의 체중을 전달받도록 지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, 로봇 다리의
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, 본체로 전달된 체중을 지면으로 전달하고
제어 모듈 명령에 따라 작동하는 로봇 다리로 구성됨
구분 | 본 개발기술 특징 |
---|---|
사용장소 | 실내·외 장소에 대한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 |
사용범위 | 재활, 보행연습, 걸음걸이의 편리함 등 사용자의 다양한 용도에 따라 사용 가능 |
보관방법 | 다리 관절구조의 접이식 설계로, 미사용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관 용이 |
보호자 동행 필요성 | 보호자 동행 없이 사용 가능하며, 위급상황 발생 시 경고음 발생 |
제품수명 | 모터 및 충전용 배터리 사용으로 해당 부품 변경을 통해 반영구적 사용 가능 |
성능 Upgrade | 소프트웨어적 성능은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를 통해 새로운 기능 장착 가능 |
사용자 구분 | 보행이 어려운 사용자도 옵션 선택으로 사용자 신체 기능에 맞게 이용 가능 |
작동방법 | 사용자의 동작을 인지한 모션센서를 통한 움직임 |
항목 | 계 획 | 실 적 | 달성도(%) | |
---|---|---|---|---|
개발목표 | 생체정보 연동과 보관이 용이한 재활 보행보조 로봇 개발 |
생체정보 연동과 보관이 용이한 재활 보행보조 로봇 개발 |
100 | |
정량적 목표항목 및 달성도 |
동작인식 속도 | 390s 이내 |
58 | 100 |
동작인식 정확성 | 15cm 이내 |
평균오차 0.3cm 이하 | 100 | |
내구성 | 180 kgf/cm² |
2126.6 | 100 | |
로봇 워커 크기 (가로*세로*높이) |
58*55*84 cm |
53.5*41.12*70 | 100 | |
높낮이 조절 범위 | 10cm 이상 |
11.4 | 100 | |
앱 V&V 시험 | 검증 | 개발목표 만족 | 100 | |
보행자 알고리즘 V&V 시험 |
검증 | 개발목표 만족 | 100 |
◦지식재산권 : 4건(특허등록 1건, 특허출원 3건)
특허등록 : 제10-2142945호 보행보조장치
특허출원 : 특허-2020-0159001 보행 보조 장치 및 제어 방법
특허출원 : 특허-2020-0159002 높이 조절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
특허출원 : 특허-2020-0159003 접이식 보행 보조 장치
◦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고령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산업이 주목받고
있으며 4차 산업혁명으로 재활의학 분야에도 활발한 투자 및 기술 개발이
진행되면서 재활 시장의 성장이 기대됨
◦병원, 재활병원, 요양병원에 계시는 보행이 불편한 분들뿐만 아니라
가정이나 실내에서 보행 연습 시에도 이동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로봇
기술이 적용된 제품으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
◦재활의학, 사회복지, 4차 산업